ReutersReuters

DSR 1%p 상승시 가계소비 평균 0.37% 감소 - 한은

원리금상환비율(DSR)이 1%p 상승할 때 가계소비가 평균적으로 약 0.37%씩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 조사국 오태희 과장 등 4인은 'BOK 이슈노트'에 발표한 '금리 상승 시 소비 감소의 이질적 효과' 자료에서 DSR이 1%p 상승할 때 가계소비는 평균적으로 약 0.37% 감소했다고 밝혔다. 다만, DSR 수준이 특정 임계치(20%)를 상회하더라도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가 소비에 미치는 추가적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부채가 많은 저소득 가구의 경우 DSR이 1%p 상승할 때 소비가

0.47% 감소해 전체 가구의 소비 감소 폭을 크게 상회했다. 부채가 많은 중·고소득 가구 역시 DSR이 1%p 상승할 때 소비가 0.46% 감소해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 제약 정도가 고부채-저소득 가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진은 "동일한 수준의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에 대해 고부채-중·고소득 가구는 이를 재량적 소비의 조정을 통해 흡수하는 반면, 필수적 소비 비중이 높은 고부채-저소득 가구는 상당 수준의 필수적 소비 감소를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특히, 고부채-저소득 가구에 집중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부채가 많으면서도 주택을 보유하지 않은 가구는 DSR이 1%p 상승할 때 소비가 0.42% 감소해 그룹 내 여타 범주에 속한 가구와 비교할 때 소비 위축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채소득비율(DI)이 200%를 넘는 상황에서 DI가 10%p 오를 경우 고부채-저소득 가구의 소비는 0.31% 감소하는 반면, DI가 100% 미만 또는 100~200%인 경우 소비가 각각 0.31%와 0.07% 증가했다.

연구진은 "가계의 금융 부담이 가중될 경우 취약계층의 소비는 필수적 소비를 중심으로, 중산층 이상은 재량적 소비를 중심으로 둔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구별 차이를 감안해 정책을 설계할 때 정책 효과가 제고될 것"이라며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은 금융안정뿐만 아니라 소비 평활화를 통한 경기 안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Log masuk atau cipta satu akaun percuma selamanya untuk membaca berita ini